정보보호
- [ICT전략과] 알약 익스플로잇쉴드, 랜섬쉴드PC 사용 안내 ○ 알약 익스플로잇쉴드는? – 알약 익스플로잇 쉴드는 취약점을 통한 악성코드의 공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차단하는 악성코드 사전 탐지 프로그램입니다. – 주요 프로세스 의심 행위와 의심 파일을...
- 14.12.16_QNAP NAS 제품군 Gnu Bash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[출처: 인터넷침해대응센터 / 2014.12.16] □ 개요 최근 QNAP NAS 제품의 TCP/8080 포트를 대상으로 Gnu Bash 취약점(쉘쇼크)[1]을 공격하는 시도가 증가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, 해당 ...
- [MS14-085] Microsoft 그래픽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 [MS14-085] Microsoft 그래픽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의 정보를 공개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JPEG 콘텐츠가 포함된 웹사이트로 이동할 경우...
- [MS14-084] VBScript 스크립팅 엔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[MS14-084] VBScript 스크립팅 엔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될...
- [MS14-083] Microsoft Excel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[MS14-083] Microsoft Excel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Excel 파일을 열람하거나 미리보기를 할 경우 취약...
- [MS14-082]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[MS14-082]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 제작된 파일을 열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...
- [MS14-081] Microsoft Word 및 Microsoft Office Web App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[MS14-081] Microsoft Word 및 Microsoft Office Web App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Microsoft Word 파일...
- [MS14-080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[MS14-080]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□ 설명 o 사용자는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, 원격코드가 ...
- [MS14-075]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[MS14-075]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□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권한 상승 □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URL을 클릭하여 대상 Outlook Web App 사이트로 ...
- 141209_아래한글 임의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 한글과컴퓨터社의 한글 등 오피스 프로그램에서 임의 코드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됨 [1] 공격자는 특수하게 조작한 웹페이지 방문 유도 또는 웹 게시물, 메일, 메신저의 링크 등을 통해 특수하게 조작...